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 탄소중립에 활용되는 '모달시프트'의 의미, 발전 방향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물류업계에서는 모달시프트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렇다면 모달시프트란 무엇일까? 모달 시프트는 도로(차량)나 항공기처럼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수송 수단에서 철도, 선박 등 탄소 저배출 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수송의 대상은 화물뿐만 아니라 여객(사람)도 포함된다. 이 모달 시프트는 각각의 교통수단을 완결된 시스템이 아니라 다른 교통과의 관계 속에서 영향을 주고받는 시스템 속의 수단이라고 본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수단은 철도다. 철도는 인킬로미터당 에너지 효율이 승용차보다 10배 높으며, 지금처럼 석탄에 의존하는 전력으로도 탄소효율이 5배 높다. 승용차에서 6000만t 정도의 탄소가 배출된다고 가정하면, 승용차 통행을 철도가 20%만 흡수해.. 2022. 3. 19. 제과 업계의 표절 의혹 상품 '오리온'편 제과업계의 표절 의혹 상품, 미투 상품이 끊임없이 출시하고 있다. 앞선 롯데제과에 이어 오리온의 표절 의혹 상품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롯데제과가 표절 논란 상품에 대해 엄청난 양의 자료가 나오는 것에 비해, 오리온은 타 제과 기업들에 비해 논란 제품이 적은 편이다. 1. 초코송이 오리온 초코송이는 일본 메이지 제과 기노코노야마와 유사하다는 논란이 있다. 기노코노야마는 1975년 처음 만들어진 상품으로 초코송이가 1984년에 처음 출시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논란이 생길만하다. 표지, 내부 과자 모두 유사하며 그나마 차이점을 찾자면 초코송이의 초코 부분이 살짝 기울어져 있다는 것 정도다. 일부 누리꾼은 원조인 기노코노야마의 맛을 초코송이가 따라갈 수 없다는 평가를 남겼다. 2. 꼬북칩 8년의 개.. 2022. 3. 19. 러시아와 타이탄에게서 일어난 '뱅크런'의 의미, 사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일어나자 주요 국가들이 경제 제재를 가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루블화의 가치가 급락했다는 기사가 연일 나오고 있다. 이로 인해 러시아 국민들이 은행 앞에 모이며 뱅크런을 하려는 모습이 기사 사진으로 자주 나온다. 그렇다면 뱅크런이란 무엇일까? 뱅크런이란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자 은행이 지급 불능 상태가 될까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것이다. 뱅크런이 일어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하나는 예금자의 급격한 인출 요구 때문이다. 은행은 예금자들에게 받은 예금을 이용하여 대출과 투자를 하고, 일부는 예금자들의 인출 요구에 대비해서 지불준비금으로 항상 보유하고 있다. 이때 모든 예금자가 한꺼번에 돈을 인출하려고 한다면 은행은 당시 보유하고 있는.. 2022. 3. 19. 제과업계의 표절 의혹 상품 '롯데제과'편 마트의 과자 코너에 가면 롯데 초코파이와 오리온 초코파이, 청우 초코파이 찰떡과 롯데 찰떡파이 등 유사한 상품이 많이 보인다. 초코파이의 경우 오리온이 원조라는 사실을 다들 알기 때문에 그나마 괜찮지만 찰떡파이처럼 누가 원조인지 모르는 상품들은 소비자를 햇갈리게 한다. 그렇다면 기업들은 왜 유사 상품을 출시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빠른 유행 변화 때문이다. 식품업계는 유행을 굉장히 많이 타는데, 포장지라도 비슷하게 만들면 잠깐의 유행에서 시장 점유율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원조 회사들은 이러한 유사 상품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다. 이것이 하루 이틀이 아니기 때문이다. 원조 기업 입장에서는 워낙 유사 제품이 많다보니 법적 공방을 하는 게 실질적 이익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다만 회사 매.. 2022. 3. 17.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