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쿠팡 새벽배송 가능 지역과 지역 소외 이유

by 겨울에는 김겨울 2022. 3. 23.
반응형

 

최근 지방에서 한달 살기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가운데, 일부 지역은 새벽배송이 안되다보니 불편함을 토로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출처: 포토뉴스

이로 인해 쿠세권(쿠팡의 주요 서비스 지역)이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스타벅스·편의점과 가까운 지역을 말하는 '스세권', '편세권'도 같은 맥락이다.

 

생활에 밀접한 서비스일수록 소외지역의 불편은 커진다. 국토 불균형 발전이 가져온 지역 간 생활서비스 격차의 현주소다. 머니투데이의 쿠팡 서비스 지역 전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29개 지방자치단체 중 새벽배송 가능지역은 106개46.3%이다. 새벽배송의 기준은 전날 주문하면 다음날 새벽까지 배달해주는 쿠팡의 로켓와우와 로켓프레시로 한정했다.

출처: 머니투데이

새벽배송 가능지역은 수도권과 광역시에 집중됐다. 서울모든 지역에서 새벽배송을 이용할 수 있고, 경기는 지자체 31개 중 21에서 서비스 중이다.

 

경기의 동부권남부권은 새벽배송이 불가능하다. 수도권을 전체적으로 봤을 때 지자체 66개 중 55개(83.3%)에서 새벽배송이 가능하다. 전국 평균의 약 2배다.

광역시도 모두 가능하다. 대전, 대구, 광주, 울산, 부산에선 새벽배송이 가능하다. 특별자치시인 세종도 서비스 가능지역이다. 특별자치도인 제주는 관청 주소를 기준으로 했을 때 새벽배송이 불가능하다.

 

세종과 제주를 포함한 광역단체만 기준으로 따지면 제주시와 서귀포시, 인천 강화군 등 3곳을 빼고 74개 지자체에서 새벽배송을 받을 수 있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곳은 소외지역이다. 강원과 전남은 새벽배송이 가능한 지역이 한 곳도 없다. 충북(청주)전북(전주)은 새벽배송 가능지역이 한 곳밖에 없다.

 

충남에선 아산과 천안에서만 부분적으로 가능하다. 경북에선 경산·구미·김천·칠곡, 경남에선 김해·양산·창원이 가능하다. 대부분 광역시와 인접한 곳이다.

 

 

쿠팡의 새벽배송 가능지역은 기업의 합리적인 결정으로 볼 수 있다. 행정안전부의 인구통계를 기반으로 분석했을 때 쿠팡 새벽배송 가능지역의 인구는 3810만2233명(73.8%)이다.

 

반면 해당 지역의 국토면적은 한국 전체의 16.1%에 불과하다. 즉 전체 인구의 26.2%, 면적의 83.9%는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그나마 쿠팡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고 있는 편이다. 마켓컬리샛별배송은 수도권과 충청권 일부, 대구, 부산, 울산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세계그룹SSG닷컴 새벽배송도 수도권과 충청권 일부 지역에서만 받을 수 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생활 서비스의 지역 간 격차는 큰 불편을 야기한다. 일부 선진국의 경우 인구구조 변화로 일부 지역에서 신선한 제품을 살 수 없는 식품 사막(Food Desert) 현상을 겪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생활서비스 전체적인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쿠팡의 로켓배송 외에도 홈클리닝, 비대면 세탁서비스 등 만만치 않은 비용 탓에 호불호가 갈리지만 수도권에서는 선택의 기회가 주어진다.

하지만 지방 사람들은 선택의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 새벽배송과 같은 물류서비스뿐 아니라 스타트업들의 혁신 생활서비스는 수도권과 광역시 위주로만 운영된다.

출처: 머니투데이

이는 지방 청년들의 정주 여건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층(15~34세)의 수도권 거주비율은 2019년 기준 52.7%로, 전체 연령대의 수도권 거주비율(50%)을 상회하는 수치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인구의 수도권 이동은 가속화하는 추세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물류와 같은 생활서비스를 지방으로 확대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

 

비용 측면에서 인구 밀집지역 위주로 서비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리고 2019년부터 지금까지 약 2조원을 투자한 쿠팡을 제외하고는 신규투자 여력이 없는 것도 원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생활서비스 혜택에서 갈수록 멀어지고 있다. 심지어 제주도 등 일부 지역은 물류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온라인 전환 가속화에 따라 새벽배송 시장은 2023년 119000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지만, 지방에는 온전히 돌아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참고 문헌: 정현수 등, 『머니투데이』, 「'새벽배송' 당연한 일상인줄 알았는데…같은 대한민국 맞나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