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34

'3PL, 4PL, 풀필먼트'의 의미, 차이 (feat. 1PL, 2PL) 미국 빅테크 기업 아마존에는 FBA라는 3PL 자회사가 있다. FBA(Fulfillment By Amazon)는 2020년 3000억 달러(약 355조 원)의 거래액을 달성하며 아마존의 신성장동력이라 불리고 있다. 이는 온라인의 적자 부문인 온라인 사업을 매울 수 있을 정도다. 아마존을 롤모델로 하는 쿠팡 역시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3PL 사업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3PL은 무엇이고, 3PL과 함께 언급되는 풀필먼트란 무엇일까? 1. 3PL 먼저 3PL(Third Party Logistics)이란 제 3자 물류라고도 부르며 기업의 물류 부문을 전부 혹은 일부 물류 전문업체에게 아웃소싱(업무 위탁)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주기업은 주요 부문인 제품 생산을 제외한 재고 및 창고관리, 상품 수배송.. 2022. 3. 16.
노티드와 다운타우너, GFFG가 인기있는 이유 한국에는 줄 서서 먹는 도넛이라는 별칭을 가진 카페가 있다. 그 옆에는 항상 미국식 수제 버거집이 함께 한다. 이들이 바로 젊은 층에게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는 노티드와 다운타우너다. 두 브랜드 모두 인스타그램 태그 게시물이 13만 개를 넘어가고, GS25나 무신사 같은 유명 기업이 앞다퉈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할 정도로 그 영향력과 존재감을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만든 기업이 GFFG(Good Food For Good)다. 이외에도 퓨전 한식 맛집 ‘호족반’, 미국 가정식 레스토랑 ‘리틀넥’, 뉴트로 스타일 뉴욕 피자 ‘클랩 피자’, 퓨전 중국집 ‘웍셔너리’를 보유하고 있다. GFFG는 매년 2배씩 성장하며 지난해 7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F&B 업계의 신흥강자다. 그렇다면 GFFG가 이렇게 인기.. 2022. 3. 16.
CU와 GS25가 추구하는 방향 국내 편의점 1, 2위를 다투는 CU와 GS2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사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CU는 지난해 곰표·백양·말표 등 콜라보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연이어 출시하고, 파격적 마케팅을 펼치며 편의점 사업 본질에 집중했다. 반면 GS25는 요기요, 매쉬코리아 등을 인수하면서 퀵커머스의 저변 확대에 집중했다. 이에 따라 자연스레 편의점에 대한 집중도가 다소 낮아졌다. 그렇다면 CU와 GS25 두 기업이 서로 다른 전략을 펼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집중의 차이 때문이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편의점이 핵심 단일 사업이다. BGF푸드, BGF네트웍스 등의 자회사도 있지만 이들 모두 CU를 위해 운영되는 기업이기 때문에 편의점 사업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반면 GS리테일에게 GS25는 플.. 2022. 3. 15.
룰루레몬이 요가복계의 샤넬인 이유 룰루레몬과 관련된 기사를 보면 항상 붙어있는 수식어가 있다. 바로 '요가복계의 샤넬'이다. 룰루레몬은 왜 요가복계의 샤넬이라고 불릴까? 일단 비교대상이 되는 샤넬은 하이엔드 명품 3대 브랜드 중 하나이다. 여기서 하이엔드 명품이란 명품 중에서도 최고 수준의 명품이라는 뜻으로, 샤넬 외에는 에르메스와 루이비통이 있다. 하이엔드 명품은 품질이 좋고 가격이 비교적 비싸며 브랜드 가치가 높다. 룰루레몬도 마찬가지다. 레깅스의 평균 가격이 40달러(약 5만 원)인데 비해 룰루레몬의 메인 제품인 애슬레저 팬츠는 110달러(약 14만 원)로 3배가량 비싸다. 그런데 한번 룰루레몬 제품을 입어본 소비자들은 다른 브랜드로 넘어가지 못한다고 한다. 룰루레몬 제품의 높은 내구성과 다양하면서 세련된 디자인 때문이다. 이는 결.. 2022. 3. 13.
반응형